전체 글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지수 표기법, 정규화 표기법 지수 표기법은 숫자를 지수 형태로 표기하여 무의미한 0이나 소수점을 생략할 수 있다. ex) e는 밑수 10을 의미하며 대문자로 쓸 수도 있다. 지수는 그 옆에 숫자로 표기한다.(+는 생략 가능) 정규화 표기법 위 예시처럼 지수 표기법은 지수 값의 크기에 따라 무수히 많은 방법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그중 임의의 실수의 절댓값을 1이상 10미만으로 설정하는것을 정규화 표기법이라고 한다. ex) 350 -> 3.5e2 0.314 -> 3.14e-1 0.0015 -> 1.5e3 컴퓨터의 2진법 2진법이란 2진법은 각 자릿수가 0, 1로만 이루어진 수 체계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10진법는 10의 거듭제곱으로 자릿수가 증가하지만 2진법는 2의 거듭제곱으로 자릿수가 증가한다. 2진법에서 가장 오른쪽은 "1"의 자리, 한칸 왼쪽은 "2"의 자리, 다음은 "4"의 자리, "8"의 자리, "16"의 자리 ... 등이 온다.2진수에 해당하는 10진수는 모든 자릿수를 합산하여 구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이진수 [10011] 은 1+2+16=19 와 같다. 16 8 4 2 1 2진수 = 10011 1 0 0 1 1 10진법, 2진법 형식의 10진수 0~15까지의 숫자는 아래와 같다 10진수 2진수 0 0 1 1 2 10 3 11 4 100 5 101 6 110 7 111 8 1000 9 1001 10 1010 .. 이전 1 다음